을 포함하는 두 글자의 단어: 145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145개 세 글자:173개 네 글자:188개 다섯 글자:127개 여섯 글자 이상:265개 모든 글자:899개

  • : (1)‘능화’의 북한어.
  • : (1)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 선조와 비(妃) 의인 왕후 및 계비(繼妃) 인목 대비의 능. 동구릉의 하나이다.
  • : (1)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서오릉의 하나. 조선 영조의 원비(元妃) 정성 왕후(貞聖王后) 서씨의 능이다. (2)‘홍릉터’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3)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는, 조선 고종과 비 명성 황후의 능. 원래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에 있던 것을 1919년에 옮긴 것이다.
  • : (1)‘울릉대다’의 어근. (2)경상북도 울릉군에 있는 읍. 군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21.32㎢.
  • : (1)고려 선종의 능. 장소는 확실하지 않다. (2)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있는, 조선 순조와 비 순원 왕후의 능. (3)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50cm이고 뿌리는 짧고 굵으며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선 모양 또는 선상 피침 모양으로 부추의 잎과 비슷하다. 5~6월에 담자색의 작은 꽃이 총상 화서로 잎 사이에서 나온 가는 꽃줄기 끝에 밀착하여 피고 열매는 검푸른 장과(漿果)로 익는다. 덩이뿌리는 약재로 쓴다. 산지(山地)의 나무 그늘에 나는데 제주, 전남, 전북, 경남, 경북, 강원 등지에 분포한다.
  • : (1)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 있었던 초나라의 읍. 지금의 난징(南京)에 해당한다.
  • : (1)‘귀머거리’의 방언
  • : (1)조선 현종과 그의 비(妃) 명성 왕후 김씨의 능. 동구릉의 하나이다.
  • : (1)‘능침’의 북한어.
  • : (1)조선 단종의 비 정순 왕후의 능.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리에 있다. (2)‘빗모서리’의 전 용어. (3)경상북도 경주시 탑동에 있는 다섯 능묘.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ㆍ알영 왕비ㆍ남해왕ㆍ유리왕ㆍ파사왕의 능이라고 전하여진다. 사적 정식 명칭은 ‘경주 오릉’이다. (4)‘살강’의 방언 (5)중국 베이징시 창핑구(昌平區) 톈서우산(天壽山)에 있는, 명나라 숭정제의 능.
  • : (1)‘부르릉’의 준말.
  • : (1)중국 산시성(陝西省) 시안시(西安市) 린퉁구(臨潼區)에 있는 진시황의 능.
  • : (1)‘능모’의 북한어.
  • : (1)작은 새가 조금 가볍게 짧은 거리를 나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1)경기도 파주시 조리읍에 있는, 조선 영조의 맏아들 진종(眞宗)과 그 비 효순 왕후(孝純王后)의 능. (2)경기도 여주시 능서면에 있는, 조선 세종과 그 비 소헌 왕후의 능. 당시의 경기도 광주, 현재의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있던 것을 예종 1년(1469)에 이곳으로 옮겼다. (3)고려 숙종의 능. (4)경기도 여주시 능서면에 있는, 조선 효종과 그 비 인선 왕후의 능. (5)중국 베이징 창핑구(昌平區) 톈서우산(天壽山)에 있는, 명나라 세종 가정제의 능.
  • : (1)함경남도 함흥군에 있는, 조선 태조의 조부인 도조의 능. (2)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에 있는, 조선 경종과 계비 선의 왕후의 능.
  • : (1)중국 삼국 시대의 위나라 무제(武帝)의 능. (2)중국 청나라 세종(世宗)의 태릉(泰陵), 인종(仁宗)의 창릉(昌陵), 선종(宣宗)의 모릉(慕陵), 덕종(德宗)의 숭릉(崇陵)을 통틀어 이르는 말. (3)중국 남북조 시대의 문인(507~583). 자는 효목(孝穆). 유신(庾信)과 더불어 서유체(徐庾體)라고 불리는 궁체(宮體)의 시를 일으켰으며, 양나라 태자(太子) 소강(蕭綱)의 명으로 ≪옥대신영≫을 엮었다. 저서에 ≪서효목집≫이 있다.
  • : (1)‘능관’의 북한어.
  • : (1)옛 능(陵). (2)개성에 있는, 고려 충렬왕의 비(妃)인 제국대장 공주의 능. (3)고려 제34대 공양왕과 그의 비인 순비(順妃) 노 씨(盧氏)의 능.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에 있다. 사적 정식 명칭은 ‘고양 공양왕릉’이다.
  • : (1)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서오릉의 하나. 숙종 원비 인경(仁敬) 왕후의 능이다.
  • : (1)‘두보’의 호. (2)중국 베이징시 창핑구(昌平區) 톈서우산(天壽山)에 있는 명나라 목종의 능.
  • : (1)경상북도 경주시 탑동에 있는 다섯 능묘.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ㆍ알영 왕비ㆍ남해왕ㆍ유리왕ㆍ파사왕의 능이라고 전하여진다. 사적 정식 명칭은 ‘경주 오릉’이다.
  • : (1)‘능음’의 북한어.
  • : (1)똑같은 크기로 만든 두 개의 무덤.
  • : (1)‘능역’의 북한어.
  • : (1)자줏빛 무늬가 있는 비단.
  • : (1)‘능형’의 북한어.
  • : (1)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 경종의 원비인 단의 왕후의 능. 동구릉의 하나이다. (2)중국 허베이성 탕산 청 동릉에 있는, 청나라 동치제의 능.
  • : (1)조선 시대의 장조와 그의 비 헌경 왕후의 능.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는 능으로 근처에 위치한 건릉(健陵)과 함께 사적 206호로 지정되어 있다.
  • : (1)‘능복’의 북한어.
  • : (1)‘능학’의 북한어.
  • : (1)조선 태조의 고조부인 목조의 능. 함경남도 함흥 서북쪽의 가평사(加平寺)에 있다. (2)중국 베이징 창핑구(昌平區) 톈서우산(天壽山)에 있는, 명나라 희종 천계제의 능.
  • : (1)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에 있는, 조선 세조와 정희 왕후의 능. 부근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크낙새가 살고 있다. 사적 정식 명칭은 ‘남양주 광릉’이다. (2)조선 시대에, 서울의 행정ㆍ사법을 맡아보던 관아. (3)발해의 62주 가운데 철리부(鐵利府)에 속한 행정 구역.
  • : (1)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조선 중종의 계비 장경 왕후의 능. 서삼릉의 하나이다.
  • : (1)땅이 비탈지고 조금 높은 곳.
  • : (1)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 인조의 계비 장렬 왕후의 능. 동구릉의 하나이다.
  • : (1)천발이 옆으로 비껴 나게 짠 비교적 얇고 부드러운 비단. ⇒남한 규범 표기는 ‘능주’이다.
  • : (1)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서오릉(西五陵)의 하나. 조선 숙종과 계비(繼妃) 인현 왕후(仁顯王后) 및 인원 왕후(仁元王后)의 능이다.
  • : (1)폭발물 따위가 터지거나 천둥이 칠 때 요란하고 짧게 울리어 나는 소리.
  • : (1)‘능구’의 북한어.
  • : (1)‘능실’의 북한어.
  • : (1)산과 언덕을 통틀어 이르는 말. (2)국장(國葬)을 하기 전에 아직 이름을 정하지 않은 새 능. (3)골짜기와 골짜기 사이에 있는 산봉우리의 줄기.
  • : (1)속귓길의 바닥을 윗구역과 아래 구역으로 나누는 수평의 선. 위쪽으로는 얼굴 신경과 안뜰 신경의 가지가 지나가고, 아래쪽으로는 달팽이 신경과 안뜰 신경의 가지가 지나간다.
  • : (1)고려 현종의 아버지인 욱(郁)의 무덤. 경기도 개풍군 영남면 현화리에 있으며, 뒤에 무릉(武陵)이라 고쳤다. (2)조선 정조와 그의 비 효의 왕후 김씨의 무덤.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다. 사적 제206호.
  • : (1)9~10세기 무렵에 지금의 인도네시아 자바의 중부 지역에 있었던 나라. 중국 당나라의 종속국이었으며 자주 당나라에 예물을 바쳤다. (2)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능내리에 있는, 고려 원종의 부인이며 충렬왕의 어머니인 순경 태후의 무덤. 고려 원종 3년(1262)에 정순 왕후로 추대되고, 충렬왕이 즉위(1274)하면서 순경 태후로 높여졌다. 무덤 주변의 부서진 석물과 무너진 봉분은 1974년에 지금의 모습으로 고쳤다. 사적 정식 명칭은 ‘강화 가릉’이다.
  • : (1)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길정리에 있는, 고려 희종의 무덤. 희종이 고종 24년(1237)에 57세로 죽자, 덕정산 남쪽에서 장례를 지내고 그 무덤을 석릉이라고 하였다. 조선 현종 때에 강화 유수 조복양(趙復陽)이 찾아내어 다시 무덤을 쌓았으나, 이후에 무너진 무덤을 1974년에 손질하여 고쳤다. 사적 정식 명칭은 ‘강화 석릉’이다.
  • : (1)‘옆모서리’의 옛 용어.
  • : (1)함경남도 함흥의 덕릉(德陵) 경내에 있는, 조선 태조의 고조모 효공 왕후의 능.
  • : (1)‘능직’의 북한어.
  • : (1)‘능가’의 북한어.
  • : (1)함경남도 문천군 초한사에 있는, 조선 태조의 증조모 정숙 왕후의 능.
  • : (1)고려 성종의 친아버지 욱(旭)의 능. 대종(戴宗)이라고 추존(追尊)하고 봉릉(封陵)하였다. (2)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는 조선 중종의 계비 문정 왕후(文定王后)의 능. 사적 제201호. (3)중국 베이징(北京) 창핑구(昌平區) 톈서우산(天壽山)에 있는 명나라 홍치제의 능.
  • : (1)끝이 송곳처럼 뾰족한 네 개의 발을 가진 쇠못. 도둑이나 적을 막기 위하여 흩어 두었다.
  • : (1)‘간장’의 방언 (2)조선 태조의 증조부인 익조(翼祖)의 능. 함경남도 안변의 서쪽 서곡현(瑞谷縣)에 있다.
  • : (1)세력을 믿고 침범함.
  • : (1)강원도 동부에 있는 시. 영동 지방의 중심 도시로서, 쌀ㆍ콩ㆍ삼 따위가 많이 나고, 농업ㆍ축산업ㆍ수산업이 활발하다. 명승지로 관동 팔경의 하나인 경포대와 오죽헌, 객사문(客舍門), 해운정, 보현사, 칠사당(七事堂), 예국 고성(濊國古城), 당문(唐門) 따위가 있다. 면적은 1,040.22㎢. (2)언덕이나 작은 산. (3)경기도 개풍군 배야리에 있는 고려 성종의 능. (4)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에 있는 조선 명종과 비(妃) 인순 왕후 심씨의 능. 사적 제201호.
  • : (1)성품이 모가 나고 날카로움. (2)추위가 심함. (3)모양이 위엄이 있음.
  • : (1)‘능각’의 북한어. (2)‘능각’의 북한어.
  • : (1)능직 무늬로 짠 화려한 비단.
  • : (1)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리에 있는 조선 예종의 비 장순 왕후(章順王后) 한씨(韓氏)의 능. (2)천의 짜임새가 공단과 비슷하면서 그보다는 얇고 보드라운 비단.
  • : (1)‘능군’의 북한어.
  • : (1)‘능상’의 북한어.
  • : (1)‘능지’의 북한어. (2)처음에는 성하다가 점차 쇠하여 감.
  • : (1)왕의 묘를 이장하기 위하여, 능(陵)의 봉분을 파헤쳐 무덤의 구덩이를 여는 일.
  • : (1)산릉을 옮겨 모심.
  • : (1)‘능단’의 북한어.
  • : (1)‘간능’의 변한말.
  • : (1)흰빛의 얇은 비단.
  • : (1)‘능위’의 북한어.
  • : (1)‘얼른’의 방언
  • : (1)사모(紗帽)의 겉을 싸는 데 쓰는 얇은 능(綾). (2)‘모릉하다’의 어근.
  • : (1)‘바위’의 방언 (2)‘벼랑’의 방언 (3)코안 바닥의 정중면에 있는 선. 양쪽 위턱뼈와 입천장뼈가 만나는 자리에 형성되며, 이곳에 코중격이 붙는다.
  • : (1)‘능랑’의 북한어.
  • : (1)‘능행’의 북한어.
  • : (1)능을 받들어 보살핌.
  • : (1)‘능답’의 북한어.
  • : (1)‘얼른’의 방언
  • : (1)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있는 조선 중종의 원비(元妃) 단경 왕후의 능. 사적 정식 명칭은 ‘양주 온릉’이다.
  • : (1)조선 철종과 철인 왕후(哲仁王后)의 능. 서삼릉(西三陵)의 하나로, 경기도 고양시에 있다.
  • : (1)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 영조와 계비 정순 왕후의 능. 동구릉(東九陵)의 하나이다. (2)왕이나 왕비의 무덤인 능(陵)과 왕세자나 왕세자빈 같은 왕족의 무덤인 원(園)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고려 인종의 능. (2)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에 있는, 조선 인조와 원비(元妃) 인열 왕후의 능. 사적 정식 명칭은 ‘파주 장릉’이다. (3)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종교 지도자(85?~157?). 자는 보한(輔漢). 도교(道敎)의 원류라 하는 천사도(天師道)의 창시자이다. 천인(天人)이 내리는 도(道)를 받고, 사람들의 병을 잘 고쳤으므로 많은 신자를 얻어 천사(天師)라 불리었다. (4)경기도 김포시 풍무동에 있는, 조선 선조의 다섯째 아들 원종과 비 인헌 왕후의 능. 사적 정식 명칭은 ‘김포 장릉’이다. (5)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에 있는, 조선 단종의 능. 사적 정식 명칭은 ‘영월 장릉’이다. (6)중국 베이징 창핑구(昌平區) 톈서우산(天壽山)에 있는, 명나라 성조 영락제의 능.
  • : (1)천둥 따위가 깊고 크게 울리는 소리. (2)바람이 요란스럽게 불면서 깊고 크게 울리는 소리. (3)폭발물이 터지면서 깊고 크게 울리는 소리. (4)비행기나 기계 따위가 요란스럽게 돌아가면서 깊고 크게 울리는 소리. (5)무엇이 무너지거나 흩어지면서 깊고 크게 울리는 소리.
  • : (1)세 모서리. 또는 세 모서리가 있는 물건. (2)매자기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출산 뒤의 악혈(惡血)을 제거하고, 적취(積聚)와 징가(癥瘕)를 풀며, 진경제(鎭痙劑)로도 쓴다.
  • : (1)‘수로왕’의 다른 이름. (2)조선 순조의 세자 문조와 비 신정 왕후의 능. 경기도 구리시에 있으며, 동구릉의 하나이다. (3)임금이 죽기 전에 미리 만들어 두는 임금의 무덤.
  • : (1)‘밑모서리’의 옛 용어.
  • : (1)‘능철’의 북한어.
  • : (1)산줄기의 등성이.
  • : (1)경기도 개풍군 흥교면 흥교리에 있는, 조선 정종과 비 정안 왕후(定安王后)의 능.
  • : (1)전화벨 따위가 짧게 한 번 울리는 소리.
  • : (1)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있는, 고려 강종의 비 유씨의 능. 사적 정식 명칭은 ‘강화 곤릉’이다.
  • : (1)수궐음심포경에 속하는 혈(穴)의 이름. 손바닥 쪽의 손목 금에서 중간에 해당하는 곳이다.
  • : (1)‘능선’의 북한어.
  • : (1)고려 문종의 어머니 연덕 궁주(延德宮主) 김씨의 능. (2)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에 있는, 조선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 씨의 능.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에 있던 것을 1967년에 이곳으로 옮겼다. 처음에 일반 백성처럼 묘(墓)로 있다가 연산군 때에 봉릉(封陵)하였고, 연산군의 추방과 동시에 다시 묘로 격하되었다.
  • : (1)구름이 아래에 있을 만큼 높이 날아오름. ⇒남한 규범 표기는 ‘능운’이다. (2)보통 사람보다 뛰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남한 규범 표기는 ‘능운’이다. (3)속세를 떠나서 초탈함. ⇒남한 규범 표기는 ‘능운’이다.
  • : (1)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 문종과 비 현덕 왕후의 능. 동구릉의 하나이다.
  • : (1)새벽을 침범한다는 뜻으로, 방금 접어든 이른 새벽을 이르는 말. ⇒남한 규범 표기는 ‘능신’이다.
  • : (1)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조선 인종과 그 비 인성 왕후(仁聖王后)의 능. 서삼릉의 하나이다. (2)중국 허베이성 탕산 청동릉에 있는 청나라 순치제의 능.
  • : (1)명주실로 짠 비단.
  • : (1)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괘릉리에 있는 신라 때의 고분. 원성왕(元聖王)의 능으로 추정된다. 사적 정식 명칭은 ‘경주 원성왕릉’이다.
  • : (1)‘증릉하다’의 어근. (2)높게 솟아 있는 산의 튀어나온 모서리. (3)‘증릉하다’의 어근.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4개) : 라, 락, 란, 랄, 람, 랍, 랑, 래, 랙, 랜, 램, 랩, 랬, 랭, 랴, 략, 량, 러, 럭, 런, 럼, 레, 렌, 렘, 렙, 렛, 려, 력, 련, 렴, 령, 례, 로, 록, 론, 롤, 롬, 롱, 롸, 뢰, 룀, 료, 룡, 루, 룩, 룬, 룰, 룸, 룹, 류, 륙, 륜, 률, 르, 륵, 를, 릉, 리, 릭, 린, 릴, 림, 립, 링

실전 끝말 잇기

릉으로 시작하는 단어 (81개) : 릉, 릉가, 릉가하다, 릉각, 릉각기, 릉견, 릉고토광, 릉곡, 릉곡지변, 릉관, 릉구, 릉군, 릉군보, 릉단, 릉답, 릉라, 릉라금수, 릉라금의, 릉라장, 릉라주, 릉랑, 릉령, 릉릉하다, 릉멸, 릉멸하다, 릉모, 릉모하다, 릉묘, 릉묘조각, 릉복 ...
릉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81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릉을 포함하는 두 글자 단어는 145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